비극 앞에서 드러난 종교의 민 낯과 진정성 회복의 필요성
국가적 비극은 사회가 하나로 뭉쳐 상처를 치유하고 더 나은 미래를 향해 나아가는 중요한 계기가 되어야 합니다. 세월호 참사, 이태원 10.29 참사, 제주항공 사고 등은 우리 사회가 경험한 깊은 아픔을 상기시키며, 이러한 상황에서 종교가 위로와 연대를 제공하는 역할을 해야 함을 다시금 깨닫게 합니다. 그러나 일부 개신교 지도자들의 부적절한 발언과 태도는 이러한 기대를 저버리고, 오히려 사회적 갈등과 분열을 심화시키는 결과를 낳았습니다.
세월호 참사 당시, 일부 목회자들은 참사의 책임을 국가 시스템이나 구조적 문제에서 찾는 대신 희생자와 국민에게 전가했습니다. “하나님이 나라가 침몰하려 하니 학생들을 침몰시켜 경고를 준 것”이라는 발언은 최소한의 공감과 책임감조차 결여된 태도로, 비극을 단지 신학적 도구로 이용하려는 시도로 보였습니다. 이러한 발언은 국민적 슬픔을 치유하기는커녕, 오히려 사회적 분노와 갈등을 증폭시켰습니다.
이태원 참사에서도 유사한 문제가 반복되었습니다. 한 전도사는 “젊은 사람들이 귀신과 함께 놀다가 벌어진 일”이라며 희생자들을 비난하는 발언을 했습니다. 핼러윈을 “귀신과 인신공양의 산물”로 규정하고 참사를 문화적 타락과 연결시키려는 그의 태도는 비극의 본질을 왜곡하고 희생자와 유족들의 아픔을 외면한 무책임한 행위였습니다. 이는 국민적 연대와 공감대를 약화시키는 결과를 초래했습니다.
제주항공 사고와 관련해서도 일부 인사는 “하나님이 사탄에게 허락한 것”이라고 해석하며, 비극을 초자연적 사건으로 치부하려 했습니다. 또한 “좌파 문화와 주사파 문화가 대한민국을 잠식해 이런 일이 벌어졌다”는 정치적 발언으로 참사를 특정 이념과 연관 짓는 무리수를 두기도 했습니다. 이는 사고의 구조적 문제를 외면하며, 국민적 공감을 훼손하는 무책임한 태도로 비판받아 마땅합니다.
이와 같은 발언과 행동은 종교의 공공성을 심각하게 훼손하며, 국민적 비극을 정당화하거나 신학적 왜곡으로 포장하려는 사이비적 행태로 비춰졌습니다. 종교 지도자는 국민의 아픔을 치유하고 연대를 강화하는 데 앞장서야 할 책임이 있습니다. 하지만 일부 개신교 지도자들은 비극을 신학적 수단으로 전락시키며, 오히려 갈등을 부추기고 국민적 슬픔을 외면하고 있습니다.
이들의 태도는 단순한 실수나 해석의 차이로 간과할 수 없는 문제입니다. 이러한 발언은 종교의 본질을 훼손하며, 종교가 수행해야 할 공적 역할을 외면한 채, 사회적 신뢰를 저버리는 행위입니다. 개신교의 본래 목적은 사랑과 연대, 치유를 통해 사회적 갈등을 해소하고 더 나은 공동체를 만드는 데 기여하는 것입니다. 그러나 일부 지도자들의 행태는 이러한 종교적 사명을 잃고, 사이비적 모습을 드러내는 데 그치고 있습니다.
이제는 이러한 혼란을 종식시키고 종교의 진정성을 회복해야 할 때입니다. 국민적 비극을 자신의 권력과 영향력을 강화하는 수단으로 삼는 행태는 더 이상 종교라 부를 수 없습니다. 그것은 사이비에 불과하며, 사회적 신뢰를 받을 자격이 없습니다. 국민은 진정성 있는 종교를 원하고, 그러한 기대를 저버리는 행태는 반드시 비판받아야 합니다. 이제 종교는 본연의 사명에 충실히 임하며, 아픔을 치유하고 사회를 하나로 묶는 역할에 헌신해야 할 때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