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천주교 내 여성 관련 차별 논란 및 천주교의 소극적 대응

ggaa 2025. 3. 6. 10:57

함세웅 신부가 지난 11월 30일 추미애 전 법무부 장관의 북 콘서트에 참석해 ‘방울 달린 남자들’이라고 발언하며 두 손으로 방울 모양을 만들고 있다. /유튜브 '암컷' 이어 '방울'…與, 함세웅 발언에 "여성 비하" 반발 출처-조선일보

 

 

 

최근 천주교에서 여성 관련 논란이 잇따라 발생하면서 사회적 비판이 커지고 있습니다. 주요 사례별로 개요, 문제점, 사회적 반응, 교회의 대응 및 변화 여부를 정리해봤습니다.

 

1. 함세웅 신부 여성 비하 발언 논란 (2023)

  • 사례 개요: 함세웅 신부가 2023 11월 행사에서 방울 달린 남자들이 여성 하나보다 못하다는 발언으로 논란이 됐습니다.
  • 문제점: 여성 비하 발언으로 해석될 여지가 있으며, 성차별적 언어를 사용했다는 지적입니다.
  • 사회적 반응: 정치권과 여성계 반발에서 반발했고, SNS에서도 비판의 목소리가 확산됐습니다.
  • 교회의 대응: 함 신부의 공식 사과는 없었으나, 천주교 내부에서는 신중한 언행을 요구하는 분위기를 조성하고 있습니다.

 

2. 천주교 미투사건과 2차 가해 논란 (2018)

  • 사례 개요: 2011년 아프리카 선교 중 발생한 성추행 사건이 2018년 미투 운동을 통해 폭로됐습니다.
  • 문제점: 성범죄 은폐가 시도됐고, 교회의 미온적 대응과 일부 성직자의 가해자 옹호 발언으로 문제가 됐습니다.
  • 사회적 반응: 여성단체 및 신자들의 강한 비판이 있었고, 언론에 집중 보도됐습니다.
  • 교회의 대응: 천주교 주교회의와 수원교구가 공식 사과를 발표하고, 재발 방지 교육을 약속했지만. 가해 신부의 처벌 여부는 불명확한 상태로 마무리됐습니다.

 

3. 대전교구 성추행 사건과 솜방망이 징계 (2018)

  • 사례 개요: 2001년 고등학생을 성추행하려 한 신부의 과거 사건이 2018년 폭로됐습니다.
  • 문제점: 교회가 가해 신부를 정직(일시적 직무 정지) 처분하는 데 그쳐 솜방망이 징계 논란이 발생했습니다.
  • 사회적 반응: 신자 및 학부모들의 불안만 커지고, "제 식구 감싸기" 라며 비판했습니다.
  • 교회의 대응: 내부 조사 후 정직 처분했지만, 근본적 개혁이나 강력한 처벌은 없었습니다.

 

4. 기타 여성차별 관련 논란

  • 최강욱 암컷발언 파문 (2022): 천주교 진보 성향 인사들과 가까웠던 정치인의 발언이 논란이 되며 성평등 감수성 문제가 대두됐습니다.
  • 박원순 전 시장 관련 논란 (2020): 천주교 지도부 일부의 조문이 성추행 피해자에 대한 둔감함으로 해석되며 논란이 됐습니다.
  • 워마드의 천주교 성체 훼손 사건 (2018): 일부 여성주의 운동의 과격화와 종교적 반감이 충돌한 사례였습니다.
  • 천주교 내 여성 배제 문제: 성직자는 모두 남성이며, 여성은 보조적 역할만 수행 가능하다는 문제가 대두되고 있습니다.

 

5. 변화와 과제

  • 천주교는 2018년 미투 사건 이후 비교적 신속한 사과와 재발 방지책을 내놓았으나, 이후에도 성차별적 발언과 성범죄 은폐 논란이 반복되고 있습니다.
  • 성직자에 대한 처벌이 미약하고, 교회 내부 의사결정 구조가 여전히 남성 중심적이라는 점이 문제로 지적되고 있습니다.
  • 성 평등 감수성을 높이고, 여성 참여 확대 및 강력한 내부 개혁이 필요합니다.

이러한 사건들은 천주교 내 성평등 인식과 구조적 문제를 보여주며, 보다 근본적인 변화가 요구되고 있습니다.